IT Basic13 [Server] MAC주소와 Frame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AC (Media Access Control)이란?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신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이다. 사실 이렇게 쓰면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겠다. MAC 주소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특정하기 위한 주소이다. 블루투스, 공유기와 같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라면 각각 맥주소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MAC주소가 하드웨어로 존재하는 물리적 주소이기 때문이다. 물리적 주소이기 때문에 한 번 정해지면 변경되지 않는다. MAC주소의 역할은 바로 식별이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을 할 때에는 어느 컴퓨터에게 보내는 데이터인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4bytes(32bits).. 2025. 7. 25. [Server] http의 기본 개념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서로 데이터(Request-Response)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웹문서간에 링크를 통해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며, HTML을 비롯한 이미지, 영상, JSON 파일 등 여러 형태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서버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대부분 HTTP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한다고 보면 된다. HTTP의 통신 구조 HTTP 통신은 위에서 언급했듯이 Client가 요청(Request)하면 Server가 응답(Response) 하는 것이다.클라이언트가 HTTP 메세지로 요청하고 서버에서 응답이 올 .. 2025. 7. 21. [Server] 서버와 클라이언트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의 기본 개념에서도 배웠지만 네트워크는 '두 대 이상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네트웤를 구성하는 것' 이라고 할 수 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간단하게 요청하는 컴퓨터는 Client, 응답하는 컴퓨터를 Server라고 칭한다. Server의 경우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Client는 Server에게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으며 서비스를 제공받는 역할을 한다. Appstore에서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받는 과정으로 생각해보자. 유저가 스마트폰을 통해 다운로드 버튼(요청)을 클릭하면 Appstore의 server가 요청을 확인 후 해당하는 앱 데이터를 전송하여 요청자의 스마트폰에 .. 2025. 7. 21. [Server] TCP/IP의 개념과 IP주소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IP주소와 MAC주소를 같이 공부하려고 했는데, TCP/IP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기에 우선 이 둘을 중점으로 공부해보았다. TCP/IP는 인터넷 패킷 통신 규약 중 하나에 해당된다.TCP란? TCP는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줄임말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데이터를 신뢰성 있게 전달하기 위해 만들어진 프로토콜이다.네트워크 통신 시에는 메세지를 그대로 전송하지 않고 작은 단위로 쪼개어 전송하는데 이 과정에서 순서가 뒤바뀌거나 손실될 수 있다.TCP는 손상-손실이 발생할 경우 이를 찾아내고 교정하고 재조립하는 역할을 한다. IP주소란? #IP주소 예시 192.168.123.13.. 2025. 7. 18. [Server] 네트워크 기본 개념 : 분류, 통신 방식 ,프로토콜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서버와 네트워크에 대해서 보다 더 정밀하게 알아볼 필요가 생겼다.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즉,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를 통신망(노드)로 연결하는 디지털 전기 통신망을 의미한다.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들은 노드 간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대표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또한 네트워크의 일종이다. (세상에서 가장 큰 네트워크)케이블을 통한 유선 연결, 전자기파를 통한 무선 연결 등으로 컴퓨터끼리 통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의 분류 : 크기에 따른 분류, LAN과 WAN LAN : Local Area Networ.. 2025. 7. 18. [자료구조] 인덱스와 파일구조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덱스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에 대한 검색 속도를 향상시켜주는 자료구조이다. 인덱스를 관리하기 위한 추가 작업과 저장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잘못 사용할 경우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말그대로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집합체이다. 어떤 단체나 회사냐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의 내용물은 다르다.유저가 Query(질의)를 전달하면 DataBase에서 해당하는 데이터를 찾아서 유저에게 전달해주는데이 때 인덱스가 데이터마다 고유의 주소값(pointer)를 저장하고 기억해 데이터를 찾기 더 수월하게 만들어준다. 인덱스를 구성하기 위한 자료구조로는 B-Tree, B+Tree, Hash Table 가 있다. (1) .. 2025. 6. 16. [자료구조] 해싱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싱 (Hashing) 이란?각각의 데이터를 고유한 숫자 값으로 표현하고, 이를 통하여 기억저장소에 저장하거나 검색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을 말한다. Hash Function을 통하여 Hash Table에 인덱스를 계산한다.다른 방식에 비해 검색속도가 가장 빠르다.삽입, 삭제의 빈도가 많을 때 유리하다. Key-Value 변환 방법 사용 : Hash Table은 (Key,Value) 구조로 데이터를 저장함 데이터 검색과 저장 뿐만 아니라 데이터 무결성 검사, 암호화에도 활용된다. 데이터 무결성 검사 :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변경되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해시 함수(Hash Function) : 임의의 길이를 가진.. 2025. 6. 13. [자료구조] 탐색 (Search)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탐색이란?기억공간에 저장된 특정 데이터를 착아내는 작업을 말한다.순차 탐색 : 순서화 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첫 번째부터 차례대로 탐색하는 방식제어 탐색 : 반드시 순서화 되어있는 데이터를 탐색하는 방식 비유하자면 어지럽혀진 창고에서 물건을 찾는 것이 순차 탐색, 정돈된 도서관에서 책을 찾는 것이 제어 탐색이라 볼 수 있다.제어탐색 즉 앞서 배웠던 정렬을 토대로 한 번 순서화된 데이터에서 탐색하는 방식을 제어 탐색이라한다.제어 탐색 방식은 아무리 빨라도 시간 복잡도가 O(logN)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이진 탐색 (Binary Search)피보나치 탐색 (Fibonacci Search)보간 탐색 (Interp.. 2025. 6. 9. [자료구조] 정렬 (sorting) - 퀵, 힙, 병합, 기수 정렬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복습 앞서 학습했던 Big-O 표기법을 숙지해가며 공부하자. 스택(LIFO) : 가장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삭제 큐(FIFO) : 가장 먼저 들어온 데이터가 먼저 삭제 퀵 정렬 (Quick Sort)데이터들을 피벗(키)으로 부분적으로 나누어 가며 정렬하는 방법앞서 살펴본 정렬들과 달리 평균 시간복잡도는 O(n log n)이다. 최악 시간복잡도는 여전히 O(n^2) Pivot을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 큰 값은 오른쪽으로 분할프로그램을 Recall해야하므로 Stack 요구분할(Divide)와 정복(Conquer)을 활용 ex) 초기값 : 15 30 60 5 35 18예시에서는 가장 오른쪽 수인 18.. 2025. 6. 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