쉐이더 3

[Shader] OPaque Error with Unlit Shader (불투명 쉐이더 문제)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스터디 피드백을 해주던 도중 생긴 문제를 해결했던 것을 기록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오브젝트를 페이드 아웃 시키는 fade-out shader, 즉 Transparent가 Unlit Shader에서 적용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었고 이를 해결했었다. 이 이야기를 하면서 ZBuffer 및 알파 블렌드(Alpha Blend)에 대해서도 같이 작성하며 알파를 다루기 전 알아야할 이론을 공부했다. 교재나 웹사이트를 참고하며 정리한거기에 다소 난잡할것이다. Z Buffer?Z Buffer는 깊이 Buffer라고도 부르며, 이름 그대로 화면 기준에서 '깊이값'이 얼마인지 저장하고 있는 Buffer이다.X축과 Y축만이 ..

쉐이더 03:15:29

[쉐이더] HLSL 작성 숙달을 위한 구조 파악 with Reflection Example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공부를 위해 참고하고 있는 교재는 Surface Shader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UR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HLSL 기반으로 Shader를 작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재 공부는 교재 내용을 따라 학습 후 HLSL로 고치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HLSL의 구조 즉 Properties -> SubShader -> Pass -> struct Attributes, struct Varyinge -> Vertex Shader - > Fragment Shader 아래는 교재를 참고하면서 작성한 Cubemap 기반 Reflection 코드이다.위에서 언급했듯이 HLSL이 아닌 Surface Shader..

쉐이더 2025.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