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3

[자료구조] 선형 자료구조 : List, Stack, Queue, DeQue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형구조 : List1. 선형 리스트(Linear List)연속되는 기억장치에 저장되느 자료구조로, 대표적으로 배열(array)이 있다. 원하는 정보가 있으면 해당하는 Index에 바로 찾아가면 되므로 접근속도가 빠르다는게 특징이다.단, 데이터 삽입-삭제시 데이터를 이동해주어야하므로 번거롭다. 2. 연결 리스트(Linked List)자료를 임의의 공간에 기억시키고, 순서에 따라 포인터로 연결시킨 자료구조이다.기억공간이 연속적이지 않고, 포인터를 통해 사슬처럼 앞뒤가 연결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배열과 같은 선형 리스트와 비교했을 때 데이터(원소)의 삽입과 제거가 용이하지만 접근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도 존..

Data structure 2025.05.09

[Shader] Dithering Shader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원래 디더링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개념인지도 같이 작성했었는데 글이 한 번 날아갔다...개념까지 다시 정리할 힘이 없으므로 개념은 생략하고 코드 작업만 작성했다. (개념 자체는 참고자료에 잘 적혀있다)간단히 말하자면 알파 블렌딩을 쓰지 않는다는 뜻! 코드 원문(Git Hub)코드 원문은 참고자료에 GitHub주소를 달아두었다. PropertiesProperties { _Color ("Color", Color) = (1,1,1,1) _MainTex ("Main Texture", 2D) = "white" {} _DitherScale("Dither Scale", F..

Shader 2025.05.09

[자료구조] 시간복잡도와 Big-O 표기

공부용으로 작성되는 페이지입니다. 틀린 부분이나 환경에 따라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좋은 알고리즘을 평가하는 척도 : 시간복잡도와 공간복잡도 기본적으로 시간복잡도, 즉 속도가 얼마나 빠르냐에 따라서 좋은 알고리즘을 평가하게 된다.그리고 시간복잡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데이터에서 연산 횟수가 얼마나 되는지를 연산해야하는데이를 알아보는 지표 빅오, 빅오메가, 빅세타 표기법이라고 한다. 각자 최악-최선-평균을 구하는 표기법이다. 빅오(Big-O) 표기법시간복잡도를 통한 성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보통 빅오(Big-O)를 지표로 삼게되는데,최악인 상황에서 잘 작동한다는건 결국 어떤 상황에서도 수행이 보장됨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빅 오 표기법은 ‘n이 커질 때 알고리즘의 단계가 얼마만큼 증가하는가’ 를 잘..

Data structure 2025.05.09